사회적기업 | 협동조합 | 마을기업 | 자활기업 | |
주관 | 고용노동부 | 기획재정부 | 안전행정부 | 보건복지부 |
개념 |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 | 공동 소유, 민주적 운영을 |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협동적 관계망에 기초해 주민욕구와 지역문제 | 사랑의 사회, 경제적 자활 (자립)을 돕는 활동으로 일자리 창출이 가장 큰 목표인 ‘국민 기초생활보장법’에 따른 기업 |
근거법 | - 사회적기업 육성법 -경기도 사회적기업 육성 지원에 관한 조례(08.12) | - 협동조합 기본법 | -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| - 국민기초생활보장법 |
관련정책 |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해결과 사회서비스에 대한 공급 확대방안으로 개시 | 자립과 자율에 기초한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확대 방안 | 2009년 희망근로사업에서 출발, 지역공동체사업을 통해 2011년 마을기업으로 발전 | 취약계층의 자립이 목적이며, 1970년 빈민운동이 효시, 1999년 ‘국민기초생활보장법’ 제정으로 법제화 |
1 | 사회적경제 육성, 생태계 조성 전략 연구 |
---|
2 | 사회적경제기업 생산현황 등 자원 조사 |
---|
3 | 판로 지원을 위한 공공구매 증대 방안 및 제품/서비스 경쟁력 강화 전략 연구 |
---|
4 | 국내외 사회적경제 정책 연구 |
---|
5 | 국내외 사회적경제기업 혁신 사례 조사 |
---|
6 | 사회적경제기업, 중간지원조직, 공공기관의 협력 및 네트워크 지원 연구 |
---|
+ | 기업의 사회적책임 활성화 촉진, 사회적 경제의 확장 통한 취약계층 일자리 확대 및 공공 서비스 품질 제고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