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Business

Business

1.사회적경제기업의 공공시장 진출을 위한 교육 및 훈련


대상

 사회적경제기업 대표 및 실무자, 중간조직 활동가

 

내용
  • 공공구매 및 우선구매제도 교육
  • 공공시장 및 고객 필요 분석
  • 구매계획 분석(공공구매 실적 및 예산분석 실습)
  • 공공시장 진출전략

    (입찰 및 낙찰, 제안서 작성방법 교육, 협력방안 및 지원제도 소개)

  • 사회적가치 실현 및 지속가능성 확보전략
  •   업종별 전략 및 혁력방안 토론

2.사회적경제기업 공공시장 입찰지원 및 품질관리


대상

사회적경제기업 대표 및 실무자

 

내용
  • 시장분석(공공구매 예산분석 및 공공서비스 수요, 평가기준 파악)
  • 기업평가(공공시장 진출 위해 보완해야할 문제점 분석, 사업타당성 및 물품/서비스 원가산정)
  • 전략마련 및 공공시장 영업지원(제도활용 및 협력방안 모색)
  • 입찰 준비 지원(제안서 작성 및 입찰 제반 절차 지원)

  • 낙찰 이후 사회적경제기업의 물품/서비스 품질관리 및 성과평가)

3.사회적경제기업 관련 연구 및 출판



 

내용
  • 계약 및 입찰제도 관련 연구(교육 교재 활용 및 입찰 매뉴얼 출판)
  • 국내외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관련 우수 제도, 정책, 사례 발굴 및 공유
  • 공공시장 진출전략 독자모델 개발
  • 중앙부처 및 지자체 위탁 사회적경제 정책 관련 연구 수행

  • 해외 정책사례, 도서 등 번역
  • 사회적경제기업 사업타당성 및 물품/서비스 원가산정

4.공공부문 사회적경제 물품/서비스 구매 지원



 

내용
  •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세미나 진행
  • 사회적경제 물품/서비스 정보제공
  • 사회적경제 공공서비스 공급망 제공 및 품질관리

5.조합원 및 직원 대상 상담, 교육 훈련 및 정보제공



 

내용
  • 협동조합 운영 관련 자체 워크숍
  • 외부교육 참여(자치단체 협동조합 상담지원센터, 자치단체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및 기타 중간지원조직 주관)

6.협동조합 간 협력 지원



 

내용
  • 워크숍 진행 시 협동조합을 통하여 다과 구입, 장소 대관 등 서비스 이용, 공공시방 진출관련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호 거래 활성화에 기여
  • 전국자치단체 협동조합 협력을 위한 행사 참여

7.협동조합 홍보 및 지역사회 지원



 

내용
  • 협동조합을 비롯한 국내외 사회적경제기업의 공공시장 진출 사례 지속적 연구 및 SNS 업데이트
  • 전국 지자체 사회적경제지원단과 협력하여 지자체 관내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워크숍 및 컨설팅 기회 우선 부여, 최소 비용으로 진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