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안녕하세요, 브릿지협동조합입니다.
7월 6일 목요일, 경기콘텐츠코리아랩 별똥별실 강의실에서 경기도 사회적경제기업들을 대상으로 ‘사회적 혁신을 위한 사회적경제기업의 민간위탁시장 진출 전략‘이 진행되었습니다.
이번 교육은 브릿지협동조합, 한국민간위탁경영연구소에서 주최하고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의 협력으로 사회적경제기업들의 민간위탁시장 진출 지원과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.



이번 교육은 총 2개의 파트로 진행이 되었는데요,
1파트는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 공공시장지원단의 양승태 책임연구원님께서 ‘경기도 사회적경제기업 공공시장 활성화 지원 방향’ 을 주제로 진행하였고 2파트는 브릿지협동조합의 배성기 이사장님께서 ‘민간위탁시장 진출 전략’을 주제로 총 3시간에 걸쳐 진행이 되었습니다.

1파트는 ‘경기도 사회적경제기업 공공시장 활성화 지원 방향’을 주제로 진행이 되었습니다.
경기도 공공시장 현황을 통해 사회적기업 구매액이 어느 정도 차지하는지 알아보았는데요, 그 중 31개 지자체는 총구매액 8,270억원 중 1,390억원으로 약 16% 정도를 차지하였습니다.
경기도내 물품별 구매 현황도 파악해보았습니다. 공공기관은 종량제봉투가 31.79%로 제일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컴퓨터, 화장지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. 경기도 본청은 컴퓨터가 70%로 제일 높았고 31개 지자체는 56%로 종량제봉투가 제일 높았습니다. 용역/서비스 구매 현황에서는 경기도 본청은 34.48%로 공원관리가 제일 높았고 31개 지자체는 79%로 페기물 수집/처리가 비중이 제일 높았습니다.


‘경기도 공공조달의 사회적가치 증대를 위한 조례’ (2017.1.20.)에 맞춰 사회적경제기업 제 품・서비스의 공공구매 양적 확대와 질적 성장을 유도하기위해 따복공동체지원센터에서는 『공공시장지원단 』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공공시장지원단은 사회책임조달 확산에 도움이 될 공공구매 사례를 발굴하고 소개하며 공공구매 상담센터를 통해 사회적경제 기업과 공공기관의 매칭 지원 활동을 합니다. 공공시장 진입에 고민이 많고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계시다면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
2파트는 ‘민간위탁시장 진출 전략’을 주제로 진행이 되었습니다.


우리나라는 고용 불안과 저소득층의 증가와 중산층 축소, 과도한 사교육비, 소득 불평등, 가계부채 급증으로 인해 세습적 악순환 고리가 형성되면서 더 나은 삶, 더 나은 사회, 더 나은 정부를 추구하게 됩니다.
하여 정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 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,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경제 활동과 제 4섹터가 등장하게 됩니다.(1섹터: 정부, 지자체/2섹터: 민간부문(영리)/3섹터: NPO, NGO/4섹터: 사회적경제조직)



우선구매제도는 사회적경제기업에게 중요한 제도인데요, 정부재정을 활용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, 기술개발, 친환경/저탄소 녹색성장, 사회경제적 배려 대상기업, 단체 등이 생산 또는 공급하는 물품, 용역, 시설공사 등을 공공조달청에서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통칭합니다.



공공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공공시장과 고객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중앙행정기관 및 전국 지자체 사이트에는 매년 예산서를 공개하여 해당 년도에 어떤 사업에 얼마의 예산이 투입(예정)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. 하여 기업과 연계된 사업이 진행되는지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활용이 가능합니다. 또한 계약정보시스템, 나라장터 등의 시스템도 미리 파악하고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. 또한 나라장터에 관심입찰 설정이 가능하여 관련 단어를 설정해두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예산 분석적 접근, 나라장터 접근, 예산수립 지원, 정부 우선구매사이트 제품 및 서비스 등록 등 공공시장 진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경쟁력을 키우는 좋은 방법은 회사의 제품에 대한 경쟁력도 중요하지만 추구하는 사회적가치와 그 뜻을 잘 전달할 수 있는 회사소개서, 홈페이지 등 전달하는 방법도 굉장히 중요합니다.


이번 교육을 통해 공공시장 진출에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궁금하신 점은 저희 브릿지협동조합 또는 경기도따복공동체지원센터 공공시장지원단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!